반응형
권선구 중요한 도시계획은 어디 ?경기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 1260 일원'수원역 헤모로 아파트'와 '세류초등학교'가 지구단위계획구역입니다.경기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 1280 일원 '수원역센트럴어반시티'와 'LH수원센트럴타운 2단지아파트'가 지구단위계획구역입니다.경기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 1249권선 데시앙 아파트가 지구단위계획구역입니다.경기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887-38 일원이쪽은 주로 중고차들이 있는 걸로 알고 있으며, 지구단위계획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발 가치가 있으니 투자해두시면 돈방석에 앉을 수도 있겠네요.호매실 & 당수지구호매실과 당수지구는 현재 개발이 진행중인 곳으로 호재는 많습니다. 그렇기때문에 투자적으로 가치는 충분하다 볼 수 있습니다. 참고해두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뿐만 아..
팔달구 중요한 도시계획은 어디 ?경기 수원시 팔달구 갓매산로86번길 40 일원위 사진의 '제2종 일반주거지역' 부분의 경우 재개발 지역입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시면 재개발 인근 도로를 확장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재개발 구역이 어디까지인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 23위 사진은 여러분들께서 참고하셔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 보여드립니다. 주소는 윗 부분에 적어드렸는데, 이 주소는 여기에만 "지구단위계획"으로 표시가 되어 있어 여러분들에게 보여드립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우만동위 사진에서 빨간색 영역안에 포함된 부분은 '고도지구'에 포함된 곳입니다. 투자하실 때에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추가로 팔달구 '고도지구' 아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위 사진은 '수..
오늘의 글은 영통구 중요한 도시계획부분 관련 글입니다.매탄동위 사진은 매탄주공 4, 5단지가 있는 곳으로 이 자료를 가져온 이유는 초등학교의 부지 관련하여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위 사진의 자료와 같이 초등학교 부지의 변경이라고 해야할까요. 또 초등학교 옆쪽에 표시되어 있는 '완충녹지' 부분 역시 참고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추가로 아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위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은 도로입니다. 다음으로 영통구 재개발 지역 도시계획도는 아래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원천동위 사진이 위치한 곳은 '원천주공'이 있는 곳입니다. 위 사진을 가져온 이유는 도로부분이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아 참고해두시면 좋을 것 같아 보여드립니다. '원천주공'의 재건축을 ..
수원 도시관리계획(수원화성 지구단위계획) 지형도및 고시참고용으로 보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경기도 수원시 도시 제2021-308호고시일 : 2021-08-24
오늘은 수원시 장안구에 "도시계획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시계획도란?간단히 설명해 드리자면, 도시계획도란 해당하는 시에서 앞으로 어떻게 개발을 할 것인지 대략적으로 정해놓는 '가이드라인'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이목동위 사진을 참고해 보시면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에 빨간선이 있고 초등학교와 같은 글이 적혀 있는 부분이 보이실 겁니다. 바로 그 부분이 앞으로 이목지구로 개발하려는 곳 중에서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빨간선으로 도로를 낸다고 '가이드 라인'을 정해놓은 것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근린공원 등등 적혀 있는데요.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앞으로 개발하려는 이목지구는 '이목근린공원', '주차장', 소공원'이 예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
오늘은 수원시 장안구에 위치한 송죽동의 준주거 지역 위치에 대해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참고하시면 재건축 혹은 재개발에 도움이 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위 사진의 부분 같은 경우 송죽동의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임장을 가보시면 아시겠지만, 빨간 벽돌이 모여있는 부분도 있고 신축빌라가 모여있는 부분고 있어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듯한 느낌입니다. 그러면 자료를 통해 준주거 부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에 보시면 "진한 노랑" 부분이 준주거 지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준주거 지역 같은 경우에는 용적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낮은 건물들 같은 경우 허물어버리고 높게 지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준주거 지역 쪽 임장을 가보시면 아시겠지만, 새로 지은 건물도 있고 옛날 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