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집 값이 하락하려면 어떻게 되야 하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PPT 파일을 PDF로 만들어 아래에 달아 두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지금부터 집 값이 하락하기 위해서 갖춰야 할 조건들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집 값의 하락을 위한 조건들

엄청난 공급의 주택수가 필요하다.
여기서 주택 가격이 폭락할 정도로 주택수가 공급이 되려면 한번에 엄청나게 많은 세대 수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대략 한 번에 10만호 정도는 생겨야 아파트가 폭락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유튜브 분께서는 앞으로 아파트 값이 공급이 많이 될 것이기 때문에 아파트 값이 폭락할 것이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현재국토교통부에서 공급한다는 세대 수 대부분을 보시면 호텔을 개조하여 원룸을 만들거나 빌라 혹은 오피스텔과 같은 것들이며, 그것 마저도 대부분 임대로 제공하는 주택이 많다고 합니다. 즉, 아파트의 공급 수는 현저히 적다고 보실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임대 원룸 혹은 임대 아파트가 늘어나게 될 경우 앞으로 더욱 더 아파트와의 빈부격차가 심화될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1기 신도시의 아파트 가격이 제일 많이 공급되었던 것으로 확인하실 수 있는데, 조금만 더 지나게 될 경우 1기 신도시들의 아파트들이 재건축 할 시점이 다가오게 됩니다. 즉, 재건축이 활성화 되어야 아파트의 공급이 많이 늘어날 것이라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1기 신도시들 중에서 재건축 혹은 아파트 리모델링을 잘 알아보시고 투자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MF 정도의 경제 악화 상황이 와야 한다.
물론 몇몇 전문가분들은 IMF와 같은 상황이 아니더라도 집 값이 하락시기를 겪는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물론 틀린말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집 값이 하락할 때는 지금까지 주식처럼 한 번에 하락하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집 값같은 경우 천천히 하락시기를 겪다가 주택의 수가 매우 부족할 때 급상승하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가 코로나로 인해 많은 분들이 힘들다고 하시지만, 오히려 코로나로 인해 엄청난 수익을 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 값이 저렴한 매물로 나오게 되면 매수할 사람들이 없지 않습니다.
간혹 이제 높은 금액에 매수할 사람들이 없다는 이야기를 하십니다. 그렇지만, 매수할 사람들은 충분히 있으며, 현재에도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단, 저 역시도 영끌을 지지하진 않습니다.]

미국의 엄청난 금리인상
미국의 엄청나게 금리 인상을 하게 된다면, 아마도 서울의 집 값 역시 하락세를 보여줄것입니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역시 2030세대가 주택을 매우 많이 매수하고 있는 중이며, 미국 주택 가격역시 2020년과 21년 지금도 상승세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미국부터 집 값의 하락을 보여주면 우리나라도 점차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데, 현재 미국에서는 코로나 백신을 접종 중인데도 불구하고 코로나 확진자들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종식 될 것처럼 보여지지 않는 다는점으로 인해 앞으로 금리 인상은 더욱 더 힘들지 않나 예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초 강수 양도세와 종부세
이는 이미 대출규제와 함께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진행 중인데,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하여 더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 주식의 폭락
부동산 가격이 폭락 하려면 금 값과 대부분의 주식들 역시 폭락하는 것을 보여줘야 하는데, 현재 금 값은 폭락할 기미가 보이지도 않을 뿐더러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식들 역시 다들 상승장입니다.
하지만, 금 값과 주식이 폭락하게 된다면 부동산도 위험하다 볼 수는 있겠지요.

해당 PPT의 저작권은 제 블로그에 있다는 점 주의하사기 바라며 상업적으로만 이용하지 않아주셨으면 합니다.
'나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성역 관련 아파트들 정리 (1) | 2021.02.18 |
---|---|
코로나 이후에는 집 값 떨어지나? (0) | 2021.02.15 |
고산 택지 지구(의정부 고산) 정리 (0) | 2021.02.12 |
2.4 이후 민간 재건축과 공공 재건축 비교 (0) | 2021.02.10 |
재개발과 재건축 중에서 어디가 좋은가? (0) | 202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