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강남 4구의 주인은 누가 유력한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히 개요부터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동작구
- 강동구
- 동작 VS 강동
그럼 지금부터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동작
여러분들께서 생각하시기에 동작구는 어떤 느낌이신가요? 여러분들에게 어떤 느낌이냐고 물어보는 이유는 여러분들께서 생각하실 때 좋다고 느끼는지 그저 그럭저럭 괜찮다고 느끼는지가 제일 중요합니다. 저의 회원님들께서는 아실테지만, 그 이유는 여러분들만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분들도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충분히 생각을 해보셨다면 지금부터 이제 제가 직접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동작구'의 확장성'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확장성
- 용산구 이촌역 주변 개발
-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재건축
- 주변 일자리
- 여의도 은행권
- 서초구 교대역 부근
- 마곡지구(거리가 멀긴 하지만 접근성이 나쁘진 않음)
- 상암 DMC
- 대학교(대학교에서 일하는 많은 직원들의 수)
- 가산 디지털 단지
- 편의시설
- 용산역 아이파크
- 고속터미널
- 영등포 센트럴파크
- 사당과 이수(서초구와 가까워 상권이 활발하며 사당역은 유동인구가 엄청 많음)
위와 같은 이유로 사람들이 '강남 4구'가 될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하는데요. 아래에서 강동구도 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동
- 확장성
- 하남 강일지구 - 미사,강변 신도시(9호선)
- 다산 신도시
- 위례 신도시
- 8호선 생길 지역으로 확장성
- 오륜동 - 올림픽 선수촌 재건축(오랜 기간 소요될 것)
- 둔촌동 - 둔촌 주공 제건축 진행(현재 분양가 잡음으로 지연이 되고 있음)
- 주변 일자리
- 건국대 주변 일자리
- 잠실역 부근 일지리
- GBC(생각보다 거리가 좀 멀긴하지만, 자차로 이동한다면 나쁘지 않음)<예정>
- 잠실역 부근 일자리
- 생각보다 가까운 판교
- 문정동 주변 일자리
- 하남 스타필드, 코스트코 주변 일자리
- 편의시설
- 잠실
- 건국대 대학가 상권
- 올림픽 공원
- 서울아산병원, 서울삼성병원(거리가 있긴 하지만, 자차로 이동한다면 나쁘지 않은 거리)
- 잠실 주 경기장
- 성수동 카페거리
- 하남 스타필드(대규모)
동작 VS 강동
위에서 동작구와 강동구에 대해서 비교해 드렸는데, 여러분들께서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조금 '강동'구에 힘을 주어 말씀드릴 것도 없지 않아 있지만, '강동구'가 현재 그 정도의 호재를 지녔기 때문에 말씀드린 것이고, 오시는 분들 중 몇몇 분들은 강동구를 조금 더 원하시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제가 "왜 강동구를 더 원하시는지 물어봐도 될까요?"라고 조심스럽게 물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작구는 대부분 산이 많고 도로도 울둥불퉁하여 운전도 힘들고 생각보다 주변에 놀만한 곳이 멀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슷한 가격의 강동구로 이사를 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이유 역시 강동구는 송파구나 강남의 대치, 압구, 청담동 쪽 처럼 엄청난 평지는 아닐지라도 생각보다 평지이며 무엇보다 '언덕'이 없다는 것입니다. 더불어 현재 미사 강변 지역의 신도시가 들어오면서 신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에서 강동으로 오고 싶은 사람들도 꽤 있는데요. 그 이유는 아무래도 송파구와의 거리 때문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더불어 마지막으로 말씀드리자면, 동작구도 동작구만의 엄청난 장점이 잇고 강동구도 강동구만의 엄청난 장점이 있지만, "강남 4구"에 속하는 '지역구'는 가격이 오를것이라는 점은 확실하고 그 이유는 '송파구'의 가격을 보시면 아실 듯 싶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동작구라고 하면 동작구가 강남 4구가 되는 것이고, 강동구라고 하면 강동구가 강남 4구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들께서 강동과 동작 중에서 고민하신다면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어느 지역이 강남 4구 같은지 물어보십쇼. 그렇게 한다면 그나마 판단이 서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위 자료 중에서 카카오맵의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